이불 버리는 방법 이불배출방법
평소에 미뤄왔던 이불버리기, 이사를 하게 되면서 처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평소에 자주 버리던 것이 아니라 '어떻게 버려야하지?' 의문이 생길텐데요. 이글을 통해 똑똑하게 이불버리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만약 이불을 잘못버리게 되면 최소 10만 원에서 최대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을 통해 이불 폐기방법을 정확하게 알기바랍니다.

이불은 지역마다 배출방법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대형 생활폐기물로 분류하여 버려야 합니다.
거주지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대형폐기물스티커를 발급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바쁜 요즘에는 온라인으로도 쉽게 신청이 가능합니다. 대형폐기물 온라인 신청방법에 대해서는 아래글을 읽어 도움받으시길 바랍니다.
2024.08.18 - [분류 전체보기] - 대형폐기물스티커 인터넷발급
대형폐기물스티커 인터넷발급
집안을 정리하다가 재활용품이나 일반쓰레기가 아닌 경우 배출의 어려움에 봉착합니다. 이때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폐기물스티커를 발급받아 부착 후 정해진 장소에 배출하시면 됩니다. 관할
boltang-dream.com
보통 이불 대형폐기물 스티커 발급 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 겨울용(솜이불) : 2,000원
- 여름용 : 1,000원
구지 돈주고 마대자루를 사서 넣지말고 끈으로 묶거나 비닐 혹은 보자기에 담아 배출하시면 됩니다. 이때 온라인으로 부여 받은 필증번호, 품목, 수수료, 배출일자를 깨끗한 종이에 수기로 작성해 이불 위에 붙여 배출 장소에 두시면 됩니다.
다만, 이불이 많이 손상되었거나 쓰레기종량제봉투에 들어갈만큼 매우 작거나, 이불을 작게 자를 경우 쓰레기종량제봉투에 배출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자체에 따라 이불일 경우 무조건 대형폐기물로 배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배출 신청없이 전용봉투 또는 일반 종량제 봉투에 넣어 배출이 가능한 일부지역도 있으니 본인이 거주하는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또는 다산콜센터에 02-120 휴대전화 문자 전송을 통해 본인이 거주하는 곳에 이불 배출방법에 대해 문의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


헌옷 수거함에 넣어도 되는 이불의 종류도 있습니다. 헌옷 수거함에 넣어도 되는 이불은 아래와 같습니다.
- 담요, 홑이불, 솜을 얇게 넣어 만든 누빔이불, 침대커버, 극세사 이불은 헌옷수거함에 넣어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솜이불이나 충전재가 들어간 이불은 헌옷수거함에 넣을 수 없으니 반드시 주의하시고 지자체 규정에 따라 배출하셔야 합니다!!
또한,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시는 분들 중에서 이불상태가 비교적 좋은 데 버리는 것이라면 한국그린센터에 무료수거 신청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무료 신청한 이불은 수거 가능 품목확인 후 선정되면 일정 조율 후 방문 무료 수거해갑니다. 무료 수거해간 이불은 이웃에게 나눔을 베푸는 일로 이어집니다.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 한국그린센터' 추가 후 무료수거 신청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이불 배출방법은 거주지, 이불종류, 이불상태에 등에따라 배출방법이 다릅니다. 따라서 본인이 버리려고 하는 이불이 어떤 것이 확인 후 현명하게 배출하시길 바랍니다.
이불 상태가 비교적 좋다면 이웃에게 기부할 수 있는 '한국그린센터' 무상수거신청을 하시는 것을 추천해드립니다.